교직원퇴사 2

사학연금 탈퇴(대학교 교직원)

우선적으로 사학연금 가입 대상이 되면, 국민연금은 강제로 탈퇴가 되며, 그동안 넣었던 국민연금은 일단 keep이 되고 , 65세부터 일시불수령 or 연금형태로 수령이 가능하다고 한다. (다른 선생님 말씀으로는 15년?20년 전에는 국민연금공단에서 사학연금 넘어갈 때 , 바로 일시불로 수령이 가능했다고 하는데 국민연금이 어려운지 이제는 안된다고..) 일단 내가 다녔던 사립대의 경우 퇴직금이 없고 퇴직할 때, 사학연금+사학연금퇴직수당+교직원공제회저축해놓은게 끝인데, 먼저 사학연금의경우 본인이 절반부담하고, 학교가 절반을 부담하기 때문에, 사학연금공단에서 조회가 가능하다. 연금공단에 로그인 후 퇴직급여신청-예상퇴직급여를 클릭하면, 팝업이 나오고 확인이 가능하다. (https://www.tp.or.kr/tp-k..

Etc 2022.05.26

대학교 교직원 입사/퇴사를 결심하게 된 이유

전산학과 졸업 후, 웹개발쪽으로 진로를 정하고 2014년 말 부터 2022년 중순이 되어가는 현재까지 9년이 다 되어가는 기간 동안 대학교 외주로 3년반, 대학교 직원으로 5년가까이 근무를 하였는데 퇴사를 결심하게 되었다. ※ 대학교 교직원으로 입사를 하게 된 이유 (급여 대비 높지않은 업무량과 난이도) 1. 단기간에 프로젝트를 해야되는 SI와는 다르게 교직원들의 업무량이 많지 않고, 학교 특성상 프로세스가 3월부터 시작해서 크게 1학기, 여름학기, 2학기, 겨울학기 사이클로 거의 일정하게 돌아가기 때문에, 일정에 맞게 요청이 오기 때문에, 급하게 들어올일이 없고, 들어오더라도 그 프로젝트는 외주를 맡기는 방향으로 진행을 하기때문에 업무 진행에 부담이없다. 2. 공무원준비나 공기업 준비처럼 시험에만 엄청..

Etc 2022.05.26
반응형